<aside> 💡

책 읽기 전

발도르프란 무엇가.

IB교육에서 지향하는 점과는 어떻게 다른다.

발도로프 교육이 어떤 거길래 미국 실리콘벨리에서 배웠다고 하는 사람들이 최고로 꼽은 육아법인가.

발도르프 육아의 세세한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aside>

<필사>

아이들은 스스로 자랄 힘을 갖고 태어난다.

요즘의 대세는 단연 ‘선행학습’이라며 영유아기 부모들조차 내 아이가 어떤 아이인지 찬찬히 살피기도 전에 무작정 교육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이 책은 부모와 아이 모두를 불행으로 몰아가는 이러한 육아 방식의 대안으로 지적 선행교육의 무의미함을 깨닫고 아이의 존재를 온전한 개별체로 인정하고 아이의 발달 과정을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세밀하게 배려하는 발도르프 교육을 제시한다.

나는 모든 아이는 스스로 자랄 힘을 갖고 태어난다고 믿는 느긋한 엄마였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간단하고 명료하게 답합니다. 영유아의 타고난 고유의 능력을 믿고 그들의 마음과 움직임을 세심하게 관찰하며 기다리라고! P.2%

<aside> ↘️

모든 아이는 스스로 자랄 힘을 가지고 있다라…. 어떻게 어디까지 허용해 줘야 할까. 부모가 세심하게 관찰하고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구체적으로 무얼까?

</aside>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사람이 삶의 이유를 지니고 탄생한 정신적 존재임을 강조한다. 부모가 아이를 선택하는 게 아니라, 아이가 부모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아이는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 이미 자신의 ‘삶의 작품’을 구상할 힘을 갖고 있고, 부모는 아이가 제 본성대로 잘 크도록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아이가 자신만의 삶의 이유를 꽃피울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조급한 마음으로 빨리 꽃을 피우라고 재촉한다.  p.3%

육아의 첫걸음은 아이를 온전한 개별체로 인정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영유아 부모와 현장 교사는 주 양육자로서 어린아이를 단순히 돌보며 키우는 사람이 아니라, **삶의 고유한 작품을 탄생시키는 ‘예술가’**입니다. p.5%

양육은 아이 본성에서 출발 외부의 인위적인 촉진 없이 제 나름의 속도에 따라 자라도록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보장해주는 일입니다. ”잔디를 잡아당긴다고 빨리 자라지 않는다.”_ 아프리카 속담 p.6%

<육아의 질을 결정하는 4가지 요소>

  1. 아이에게는 주변 사람들의 사랑과 온기가 필요합니다.
  2. 어른의 손길과 눈길은 따스한 무언의 언어입니다.
  3. 다정한 말씨로 대화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4. 여유로운 몸짓을 위해 조용한 발길을 유지해야 합니다. 부모가 욕심을 버리고 서두르지 않을 때 행복한 양육이 가능합니다. p.8~9%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 1861~1925)의 인지학(Anthroposophy)을 바탕으로 한 발도르프 영유아교육론은 이른바 ‘**존중과 협력의 돌봄’**을 강조합니다. p.10%

다시 말해 아이에게 돌봄의 **‘함께하기’**가 질적으로 충분히 채워지면, 그 만족감으로 어린아이는 자신의 놀이 활동에 ‘혼자’ 집중할 수 있습니다.    p.10%

신생아가 생후 1년간 세상과 단단한 관계 맺기를 이룰 수 있도록, 양육자가 일상생활에서 꼭 실천해야 하는 일은 오로지 세심한 돌봄입니다. - ‘애착 형성’ p.15%

여러 가지 동화가 아니라, 같은 동화를 반복해서 들려주셔야 언어 자극에 큰 도움이 됩니다. p.15%

**“어른이 인위적으로 구조화하고, 기발한 생각을 짜내어 구성한 체육과 체조는 오히려 아이가 잘 움직일 수 없게 만든다”**는 의견입니다. 아이는 스스로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며 배워가기 때문입니다. 이때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도 배우면서 기쁨과 자기 만족감을 느낍니다. p.17%

보행기나 운동 보조기구는 아이 스스로 움직이는 시간과 기회를 빼앗기 때문에 좋지 않다. p.20%

질문식 대화가 아니라 할 일을 구체적으로 하나씩 정확하게 말해주는 소통방식이 아이에게 안정감을 줍니다.  p.21%

영유아를 위한 환경은 청각적으로 고요하고, 시각적으로 단순한 것이 아이에게 좋습니다. p.25%

아이가 정교한 형태의 장난감을 가지고 놀면 정해진 하나의 놀이밖에 할 수 없습니다. 이에 비해 장난감의 모양이 세밀하지 않고 구조가 단순하면, 아이는 놀이 가운데 상상력으로 그것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p.36%

유아용 장난감은 모양이 단순할수록 좋고, 놀잇감이 적을수록 좋습니다! 소라, 조개껍데기, 나무토막, 솔방울, 복숭아씨 등 주변에 있는 자연물을 놀잇감으로 활용하면 바람직합니다. p.36%

혼합연령 O 조기교육 X 식재료는 유기농 O p.39%

옛 이야기나 동화는 입으로 직접 들려주거나 읽어줘야 한다.

활발하게 상상할 수 있도록 오히려 시냇물이 졸졸졸 흐르듯이 조용하게, 어떤 극적인 연출 없이 들려주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차분한 분위기가 아이의 집중력을 높이고, 단조로운 낭송이 아이의 판타지를 더 적절하게 자극한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p.43%

화려한 동화책이 상상력을 방해합니다.

아이가 눈으로 그림책을 보기보다 어른이 자연스럽게 들려주거나 읽어주는 이야기를 집중하여 귀로 듣는 게 훨씬 효과적입니다. 스토리를 들으면서 배경과 등장인물, 소품 등을 스스로 이미지화하면서 고유한 상을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p.44%